로봇기술개발현황로봇산업과 로봇문화를 선도하는 경남 로봇산업 진흥기관
[2020] AI서비스 플랫폼을 위한 AI로봇(H/W) 및 소프트웨어(S/W) 개발
과제내용
-
- 수행기업
- (주)소프트로
-
- 대표자
- 정창식
-
- 개발목표
-
- 정성적목표
- - AI Robot
(1) 카메라 및 센서 데이터를 이용한
외부 정보 수집 기능 구현
(2) 영상 및 센서 데이터 가공/처리 모듈 개발
(3) 네트워크 송/수신 모듈 개발
(4) 모터 및 엑츄에이터 출력 기능 구현
- Server
(1) AI Robot에서 수집한 데이터(영상, 센서)
보관 DB 구축
(2) Web UI를 위한 ‘UI 블록 처리 엔진’ 개발
- Web UI
(1) 블록 기반 프로그램, 교육 콘텐츠 UI 구축
- 정량적목표
- - 영상 및 센서 데이터 처리 모듈 : 1식
- 네트워크 송수진 모듈 : 1식
- Server(UI 블록처리 엔진) : 1식
- Web UI : 1식
-
- 개발내용
○Robot
플랫폼을 활용한 교육 콘텐츠 (로봇 분야)
[ 대표 콘텐츠 ]
스마트 축산
- Web UI를 통해 센서 데이터 정보 수집 및 시각화 기능 구현
- App 및 Web UI를 통한 모터(스텝, 서보) 제어
순 번
내 용
1
기능 설계 및 프레임 제작
2
센서 : IP카메라를 통한 모이 및 알 상태 체크/분석
출력 : 서보모터, 스텝모터(모이 주기, 알 수거)
제어 : 자동제어, Web 제어
3
오픈소스하드웨어(Arduino, NodeMCU) 활용
○Server- Web UI
진행순서
내 용
1
Server DB 구축 : Node.JS / MongoDB
Web UI : EJS
2
Login & Join(E-mail 형식의 ID, Password는 Bcrypt 모듈 사용)
Main 화면 구축(메뉴, 기능버튼, 수집된 데이터 출력)
3
Graph : 수집된 데이터 값을 활용하여 그래프화(시각화) / Google Chart 이용
Community : 사용자간의 공유 및 네트워킹 활동 페이지
Blockly 라이브러리 활용
AI 모델(teachable machine 활용)
○ Server
(1) Channel Keys
(2) Users
(3) Datafield
(4)Communities
○ Web UI
(1) Login & Join
(2) Main
(3) Graph
(4) Key 확인
(5) Channel
(6) Community
(7) Blockly
(8) AI Camera(Rtsp / Teachable Machine)
-
- 예상파급효과
○ 산업적 측면
(1) 지역 및 국가 산업 경쟁력 강화
(2) AI 교육 산업 선도
○ 지역경제 측면
(1) 로봇랜드의 발전 및 지역특화 산업의 발전
(2) 로봇랜드 활성화
-
- 특이사항
-
- 동영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