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OBOT LAND 컨벤션센터 VR안내시스템 로봇연구센터 브로셔
ROBOT LAND 컨벤션센터 VR시설투어 로봇연구센터 브로셔

로봇기술개발현황로봇산업과 로봇문화를 선도하는 경남 로봇산업 진흥기관

[2020] 유소년용 무선 조종이 가능하며 조종내용이 기록되는 팽이형 스마트 로봇 개발

과제내용
  • 수행기업
    (주)미니로봇
  • 대표자
    정상봉
  • 개발목표
    정성적목표
    ○ 전통 팽이의 채찍질 모션에 의한 팽이 동작 방법을 적용한 모션 인식기술.
    ○ 충전 전원회로 보호기능 및 완충 시 자동전원 차단에 의한 화재위험 방지.
    ○ 한번 충전 시 연속사용 20분 확보.
    ○ 여러 대의 팽이를 같은 장소에서 동작 가능 하도록 8채널 분리적용.
    ○ 팽이 배틀이 가능하도록 채널 구분 및 다양한 조종 방식 채택.
    ○ 가정용 TV 리모턴 제어가 가능하게 통신 제어 프로토콜 적용.
    ○ 사용자가 조작한 조정 명령을 기억 재생하는 기능 적용.
    ○ 2가지 이상의 제품 구별이 되도록 2종 이상의 디자인인 채택
    ○ 매그너스(Magnus effect) 효과를 상쇄하는 직진 알고리즘 적용.
    ○ 모션 인식 리모컨에 의한 무선조정이 되는 팽이형 로봇 시스템
    ○ 전후좌우 이동 기능 및 스핀 회전기능을 가지는 팽이
    ○ 팽이 격투가 가능한 소프트웨어
    ○ 개발제품의 재미와 흥미 요소를 고려한 개발.(다양한 게임요소 포함)
    정량적목표
    ○ 팽이 속도 : 30cm/sec
    ○ 사용 채널수 : 8채널
    ○ 팽이 가지 수 : 4종
    ○ 조종 기록 시간 : 3분
    ○ 완충 후 연속 사용 시간 : 20분
    ○ 리듐이온 전지 : 3.5V, 120mA
    ○ 무게 : 60g. 크기 : 70 x 70 x 40mm
    ○ 게임요소 : 3가지 이상의 게임 요소
  • 개발내용

    ○ IR 리모컨으로 전,후,좌,우 회전, 정지, 펑션 기능 등이 사용 가능한 팽이 형태를 가지는 유소년용 조종형 로봇 토이기술 개발

    ○ 전통 팽이의 채찍질 모션에 의한 팽이 동작 방법을 적용한 모션 인식기술.

    ○ 충전 전원회로 보호기능 및 완충 시 자동전원 차단에 의한 화재위험 방지.

    ○ 한번 충전 시 연속사용 20분 확보.

    ○ 여러대의 팽이를 같은 장소에서 동작 가능 하도록 8채널 분리적용.

    ○ 팽이 배틀이 가능하도록 채널 구분 및 다양한 조종 방식 채택.

    ○ 가정용 TV 리모턴 제어가 가능하게 통신 제어 프로토콜 적용.

    ○ 사용자가 조작한 조정 명령을 기억 재생하는 기능 적용.

    ○ 2가지 이상의 제품 구별이 되도록 2종 이상의 디자인인 채택

    ○ 매그너스(Magnus effect) 효과를 상쇄하는 알고리즘 적용.

    ○ 리듐이온 전지사용.  3.5V, 200mA

    ○ 무게 60g.  크기 : 70 x 70 x 40mm

    1fab93fcf5d9eb9bb4587073fa91439c.JPG
     
  • 예상파급효과

    ○ 산업적 측면

     - 비대면 놀이 필요, 스마트 완구 시장의 활성.

     - 로봇 산업 환경의 높은 성장성에 따른 사업 성공 가능성 고조 

     - 유소년을 위한 오락형 로봇제품의 요구 증대에 따른 사업화 

     - 사업 수행 결과로서 경남 마산로봇랜드의 유소년 체험관의 콘텐츠의 추가 확보.

     - 로봇팽이 개발로, 오락로봇 및 교육, 공연, AI 기타 로봇의 콘텐츠 환경을 앞당길 수 있다. (로봇 콘텐츠 기술의 향상)

     - 다양한 로봇을 체험을 통해서 검증하고, 체험 교육을 통한 로봇의 구동 방식의 실제적 이해화 실용화.

     - 사람과 로봇의 관계를 직접 조정을 통해 가깝게 해주며, 여러 센서 신호처리 방식과 유・무선통신 기술을 검증하고, 인공지능의 발전에 기여.

     - 로봇 콘텐츠 및 로봇 제어알고리즘의 기술이전 실시 

     - 특허출원

     - 로봇 융복합 및 게임시장 진출로 인한 해당 기술 관련 업체의 기술 성장에 기여.


    ○ 지역경제 측면

     - 로보랜드 내 유소년 체험공간에 활용.

     - 지역 유치원 등의 아동 로봇 체험 컨텐츠로 활용 

     - 지역 소재 제조업체를 통한 생산 유통 기반 구축 .

     - 지역 생산자를 통한 개발 제품의 생산

     - 로봇 게임 산업의 시장 창출 및 로봇 융합 신규 스마트 토이 상품화.

     - 수출(50억원/년) 및 수입대체(30억원/년) 효과가 있고, 향상된 기능을 가지는 로봇 체험 콘텐츠 개발에 도움.

     - 테마파크 체험 콘텐츠의 개발을 시작으로 연관된 서비스 로봇 개발이 활성화되면 고부가가치의 관련 로봇 시장이 크게 활성화될 것이다.

      - 로봇 교육화 방향이 활성화되면 연구, 교육 목적으로의 사용이 가시화될 수 있고 게임 로봇이 교육 로봇으로의 역할도 할 수 있다.

      - 로봇의 체험활용을 통해 유소년들에게 로봇에 대한 관심을 제공 할 수 있다.

      - 스포츠형 게임 로봇 콘텐츠의 확산.

      - 지역 일자리의 창출

  • 특이사항


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